본문 바로가기

📚 Theme/ESG

[ESG] 사회책임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채권

💸사회책임투자채권이란?

사회책임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채권발행자금이 친환경 또는 사회적 이득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을 지칭합니다. 또한 발행자와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ESG채권, Thematic채권, 사회공헌 채권이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녹색채권(Green Bond):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사회적채권(Social Bond): 사회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SRI채권 원칙

사회책임투자채권에 대한 국제 기준으로는 국제자본시장협회(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Association, ICMA)에서 발표한 녹색채권원칙(Green Bond Principles, GBP), 사회적채권원칙(Social Bond Priciples, SBP),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SBG), 국제기후기구(Climate Bond Initiative, CBI)에서 발표한 기후채권기준(The Climate Bond Standards, CBS) 등이 있습니다. 국내는 녹색채권에 대한 국내 최초 안내서인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이 2020년 12월 마련되었습니다.

 

* 녹색채권원칙(GBP), 사회적채권 원칙(TSBP) 및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BG)

-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 발행에 관한 자발적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으로 4개 핵심 구성요소(①자금의 용도, ②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 ③자금의 관리, ④사후보고)로 구성

 

*기후채권기준(CBS)

- 채권 또는 기타 채무상품의 녹색채권으로서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으로 녹색채권원칙과의 연계를 토대로 자금사용·추적·보고에 대한 명확한 의무사항, 저탄소 및 기후적응 프로젝트· 자산의 적격성에 대한 구체적 기준, 독립적 검증자 및 명확한 절차로 구성된 인증체계, 독립된 기후채권표준 이사회(Climate Bond Standard Board)에 의한 인증 등으로 체계로 구성

 

* 녹색채권 가이드라인(GBG)

- 금융위원회, 환경부, 환경산업기술원, 한국거래소가 공동 제정한 녹색채권 안내서로 녹색채권 정의, 관리체계, 외부기관의 검토, 부속서 등으로 구성

 

* SRI채권 발행가이드라인

- 사회책임투자채권 발행절차는 일반적인 채권 발행절차와 유사하나, 사회책임투자채권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절차가 추가

 

* 사회책임투자채권 관리체계(framework)

‘자금의 용도(Use of Proceeds)’, ‘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Process for Project Evaluation & Selection)’, ‘자금의 관리(Management of Proceeds)’, ‘사후 보고(Reporting)’ 등의 핵심 내용이 포함

 

* 외부검토(external Review)

사회책임투자채권 관리체계가 적용기준(GBP, CBS, SBP, SBG, GBG 등)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검토

 

* 사후보고(Reporting)

자금사용 현황 및 채권 발행의 환경적·사회적 효과에 관한 정기보고


출처: https://sribond.krx.co.kr/contents/01/01010000/SRI01010000.jsp

 

사회책임투자채권 | 채권소개

 

sribond.kr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