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경영

한국 ESG 평가지표 - 연말까지 나올 수 있을까? LEARNED FROM THE ARTICLE 1. 현재 ESG지표는 국내외 600여개라고 합니다. 2. ESG의 중요성이 커지니 ESG 자체도 하나의 시장이 되어버릴 것 같습니다. ESG 전문을 주장하는 기업들의 ESG 점수는 과연 어떨지 궁금합니다. 3. 협력사의 ESG 도입여부가 중요한 지표로 선정되어 문제로 지적받았네요. 대기업 중심의 한국 산업 구조에서, 대기업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협력 중소기업들까지도 당장 해야 한다고 하니 어렵습니다. 중소기업에게 ESG 관련 도움이 필요할 것은 명백해 보입니다. 그런데 그 역할을 대기업에서 해야한다는 걸까요? 4. 결국 다시 '그래서 기준이 뭐냐구요'라는 물음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인것 같습니다. 산자부의 지표 준비도 도중에 지적을 받았으니, 과연 이번.. 더보기
보험사가 고객사 ESG 경영을 지원할 수밖에 없는 이유 ESG 경영을 하지 않아서 늘어나는 사고들에 대한 뒤처리가 보험회사들에 달려있다. ESG 경영 부재에 따른 처벌이 강화되면서 보험사가 책임질 ESG 손해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ESG 경영으로 리스크를 줄이면 보험사의 손해율도 감소한다. ESG 등급 조정은 분기마다 진행한다. 1년에 한번 ESG 보고서 작성을 할 때에만 집중해서 다루면 되는 문제가 아니다. 더보기
Win or Learn, Never Lose CSES 사회적가치연구원 나석원 원장의 인터뷰입니다. 전체 내용은 원문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ESG와 연계된 내용과 멋진 표현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ESG경영은 SV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요. ESG경영을 고민중인 기업 CEO들에 대한 조언도 함께 부탁드립니다. ▲ ESG 경영이 기업계의 큰 화두가 되면서, 저희도 기존의 SV 경영에서 ESG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넓혀가는 중입니다. ESG는 비재무적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지표들의 총합인데, 자본주의 체제가 성숙기를 거치면서 그간 관심을 받지못하던 비재무적인 성과까지 꼼꼼이 살펴보고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주주라고 하는 단일 주체가 아니라 기업 내부의 구성원과 외부의 커뮤니티, 협력사와 소비자까지를 망라하는 다양한 이해관계.. 더보기
[ESG 보고서] 한국표준협회 지속가능성 보고서 DB 웹사이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ESG] Deloitte Insights - Climate & Sustainability 특집호 Deloitte Insights - Climate & Sustainability 특집호🙌 (아티클 타이틀을 클릭하면 해당 본문 PDF로 연결됩니다.) Chapter 01 Sustainability Transformation & ESG Strategy 지속가능경영, ESG 경영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업들의 전략적 접근방안 지속가능성 혁신 By Sarah Kerrigan and Duleesha Kulasooriya 기후변화는 전례 없는 규모의 위기로써 광범위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지속가능성 리스크를 확대시키고 있다. 미래의 사업 성장을 위한 방법과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서 기업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 격변하는 세계 속의 ESG와 기업 목적 By Kristen Sullivan, Am.. 더보기
[ESG] 사회책임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채권 💸사회책임투자채권이란? 사회책임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SRI) 채권은 발행자금이 친환경 또는 사회적 이득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을 지칭합니다. 또한 발행자와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ESG채권, Thematic채권, 사회공헌 채권이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녹색채권(Green Bond):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사회적채권(Social Bond): 사회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 더보기
[ESG 관련 기사] 네이버-카카오, 올해 'ESG 경영' 방점 미국, EU 등 글로벌 ESG 경영 강화 바람 네이버 'ESG 위원회', 카카오 'ESG 이사회' 설치 사회적 가치 창출 기반 기업 가치 올리기 총력 신희강 기자 2021-02-23 05:58 |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해 핵심 경영 키워드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내세우며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른 외형적 수익을 생태계 선순환을 통해 환원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어다. 기업이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 개선을 실천해야 지속 성장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ESG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더보기
[ESG 보고서] 카카오 ESG보고서, 2020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 ESG보고서, 2020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 한국의 미래를 이끄는 선진기업 카카오의 ESG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일단 카카오는 홈페이지에 '약속과 책임'이라는 탭이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탭과 나란히 놓여있다. 그만큼 기업이 가진 기술못지 않게 사회적 책임을 중시한다는 느낌을 준다. '약속과 책임' 탭에는 1) ESG, 2) 소셜임팩트, 3) 디지털 권리, 4) AI 윤리로 나뉜다. 다른 탭들도 흥미롭지만 일단 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카카오의 ESG 경영에 대한 아티클들을 보면 아래와 같다.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 가장 큰 특징은 보기 좋고 이쁘게 잘 만들었다는 것ㅎㅎ 다음은 아티클 형태로 되어있어서 정관처럼 딱 정해놓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는 느낌이 준다. 대부분의.. 더보기